최근 북한의 GPS 교란 도발이 부쩍 늘어난 가운데, 그간 선박과 항공기 등에 장애를 입힌 누적 건수는 7천 건이 넘는 거로 YTN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올해만 2천 건 가까운 전파 교란이 집중됐는데, 이를 막을 뚜렷한 수단이 없어 군뿐 아니라 민간 피해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임성재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5월 말 백령도의 한 선박, 배의 소통 수단인 국제상선 통신망이 마비됐고 내비게이션 단말기 상 위치는 이북을 가리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의 위성항법장치, GPS 전파 교란에 오작동을 일으킨 겁니다. <br /> <br />어민 조업이 중단되거나 항공기 운항이 미뤄지는 등 차질이 이어질 수 있는데, 주로 남북 관계가 경색됐을 때 이런 GPS 교란 도발은 집중됐습니다. <br /> <br />천안함 피격 사건과 연평도 포격전이 있던 2010년부터 3년간과, 북한이 4·5차 핵실험을 단행하며 도발 수위를 높인 2016년, 그리고 최근이 대표적입니다. <br /> <br />이 기간, 북한의 GPS 교란 공격으로 장애가 생긴 건수는 7천2백여 건으로 파악됐습니다. <br /> <br />유형별로는 항공기 2,948대, 기지국 2,230곳, 선박 2,137척 순으로 조사됐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, 오물풍선 살포 등 저강도 도발이 일상화된 올해 3월과 11월 사이에는 무려 1,900여 건의 전파 교란이 집계됐습니다. <br /> <br />선박 1,157척과 항공기 805대 등에 위험이 초래된 겁니다. <br /> <br />GPS 교란 공격이 집중됐던 2016년 이후 최대치입니다. <br /> <br />발신지는 황해남도 해주시, 연안군, 강원도 평강군, 강원도 금강산 등 군사분계선(MDL) 서쪽 끝에서 동쪽 끝을 아우르는 지역인 거로 파악됐습니다. <br /> <br />[정희용 / 국민의힘 의원 : 북한의 GPS 전파 교란은 국제법을 위반하는 행위이며 우리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테러 행위입니다.] <br /> <br />인명 피해까지 이어진 사례는 없다지만, 자칫 선박 등이 북한 수역으로 넘어갈 가능성과, 이에 따른 추가 피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. <br /> <br />더욱이 북한이 GPS 교란의 출력 강도를 높여 본격 도발에 나설 우려도 있는 만큼, 항공·선박의 신속한 정보 공유와 대응 훈련을 강화해야 한단 지적이 적잖습니다. <br /> <br />YTN 임성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 : 이성모 한상원 <br /> <br />영상편집 : 임종문 <br /> <br />디자인 : 백승민 지경윤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임성재 (lsj621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1117045959628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